암 발생 확률
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(남자 79.9세, 여자 85.6세)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남자는 5명 중 2명(37.7%), 여자는 3명 중 1명(34.8%)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.
2022년 암의 발생자수는 총 282,047명이며, 남자는 147,468명, 여자는 134,579명으로 나타났습니다. 전년 대비 암환자 수는 남자가 1,230명(0.84%) 증가하였고, 여자가 1,384명 감소하여 총 154명 감소하였습니다.
* 암환자 수: (‘20) 252,251명 => (’21) 282,201명 => (‘22) 282,047명
전체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은 522.7명으로 전년 대비 12.8명(2.4%) 감소하였습니다.
*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: (‘20) 491.2명 => (’21) 535.5명 => (‘22) 522.7명
- 성별 연령표준화발생률은 남자 592.2명, 여자 485.1명이었습니다.
* 남자 암 발생률: (‘20) 573.8명 => (’21) 607.7명 => (‘22) 592.2명
* 여자 암 발생률: (‘20) 443.1명 => (’21) 497.0명 => (‘22) 485.1명
❒ 조발생률: 해당 관찰기간동안 특정 인구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악성암 환자수를 전체 인구로 나눈 값으로, 인구 100,000명당 암이 발생한 비율이다.
❒ 연령표준화발생률: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별 또는 기간별 암발생률을 비교하기 위해 각 연령군에 해당되는 표준인구의 비율을 가중치로 부여해 산출한 가중평균발생률이다.
*표준인구: 우리나라 20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
암종별 발생 현황
2022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, 이어서 대장암, 폐암, 유방암, 위암, 전립선암, 간암의 순이었습니다.
- (남자의 암 발생 순위) 폐암 - 전립선암((’21) 4위) - 대장암- 위암 – 간암 - 갑상선암 순
- (여자의 암 발생 순위) 유방암 – 갑상선암 – 대장암 – 폐암 – 위암 - 췌장암 순
1999-2022년 암발생률 추이 분석
○ 모든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은 1999년 이후 2012년까지 증가 후 감소 추세로 변경되었으며, 2015년 이후 유의한 증강 추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.
○ 주요 암종에서 위암, 간암, 자궁경부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, 유방암과 전립선암은 지속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
연령군별 암발생률
○ 모든 암의 연령군별 발생률을 보면, 65세 이상에서의 암발생률은 10만 명 당 1552.0명에 달하여 고령층에서 암 발생이 월등하게 높습니다.
- 이와 같은 암 발생의 특성과 최근의 모든 암 연령표준화발생률 추세를 고려할 때, 인구 고령화에 따른 자연적인 암 발생 증가가 암발생자 수 증가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입니다.
○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면, 50대 초반까지는 여자의 암발생률이 더 높다가, 50대 후반부터 남자의 암발생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모든 암의 연령군별 발생률, 2022
○ 주요 암종별 연령군별 발생률을 살펴보면,
- 남자의 경우 49세까지는 갑상선암, 50세-59세까지는 대장암, 60세-64세까지는 위암, 65세-79세까지는 전립선암, 80세 이후에는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습니다.
- 여자의 경우 44세까지는 갑상선암, 45세-74세까지는 유방암, 75세 이후에는 대장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습니다.
○ 남녀의 암발생 성비는 1.10로 나타났고 연령군별로 0-14세는 1.21, 15-34세는 0.51, 35-64세는 0.77, 65세 이상은 1.62로 암발생 성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.
○ 남녀 전체의 연령군별 암발생은 0-14세에서 백혈병, 15-64세에서 갑상선암이 높게 나타났습니다. 65세 이상에서는 폐암이 많이 발생하였습니다.
○ 35-64세에서 남자는 대장암, 여자는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습니다. 65세 이상에서 남자는 전립선암, 폐암 순, 여자는 대장암,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습니다.
암 생존율
최근 5년간(2017-2021년)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(이하 생존율)은 72.1%로, 10명 중 7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.
2001-2005년 진단된 암환자와 비교하여 최근 5년간(2017-2021년) 진단된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17.9%p 증가되었으며, 2006-2010년 진단된 암환자의 5년 생존율보다도 6.6%p 향상되었습니다.
남녀별 5년 생존율은 여자(78.2%)가 남자(66.1%)보다 높았는데,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, 유방암이 여성에서 남성보다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.
암종별 최근 생존율을 살펴보면, 남녀 전체에서 갑상선암(100.1%), 전립선암(96.0%), 유방암(93.8%)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, 간암(39.3%), 폐암(38.5%), 담낭 및 기타담도암(28.9%), 췌장암(15.9%)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습니다.
‘제1기 암정복 10개년 계획’ 시행 이전인 1993-1995년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 암종에서 5년 생존율이 증가했으며, 특히 전립선암(36.9%p), 위암(34.0%p), 간암(27.5%p)의 5년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.
약 10년전(’06-’10) 대비 생존율이 10%p 이상 상승한 암종은 폐암(38.5%, 18.2%p 증가), 간암(39.3%, 11.0%p 증가), 위암(77.9%, 9.5%p 증가)이었습니다.
주요암 사망률
2023년 사망자 중 10대암의 사망 분율
2023년에 암(C00-C97)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85,271명으로 전체 사망자(352,511명)의 24.2%가 암으로 사망했습니다.
사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폐암(전체 암사망자의 21.9%인 18,646명)이었으며, 다음으로는 간암(11.9%), 대장암(11.0%), 췌장암(9.0%), 위암(8.5%) 순이었습니다.
2023년 주요 암종별 사망률 : 남녀전체
출처 : 국가암정보센터